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산업재해통계 및 분석

by essay701 2024. 8. 17.
반응형

산업재해통계 및 분석

 
 
산업재해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.
산업재해 통계와 분석은 이러한 재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됩니다.
재해정보를 통해서 동종 재해 및 유사 재해의 재발방지가 목적입니다.
본 글에서는 산업재해 통계의 중요성과 이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.
 
 

1. 연천인율

 
➀ 연천인율은 1년간 평균 근로자수에 대해 평균 1,000인당 몇 건의 재해가
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 
➁ 계산식
연천인율 = (연간 재해자수 / 연평균 근로자수) × 1,000
 
➂ 연천인율이 4란 뜻은 그 작업장의 수준으로 연간 1,000명이 작업한다면
4명의 재해자가 발생한다는 뜻입니다.
 
 

2. 빈도율(도수율 Frequency Rate of Injury)

 
➀ 연 100만 근로 시간당 몇 건의 재해가 발생했는가를 나타냅니다.
 
➁ 계산식
빈도율=(재해건수 / 근로자수 × 연간 근로시간) × 1,000,000
 
➂ 빈도율이 30.0이라는 뜻은 1,000,000인시당 30.0건의 재해가 발생한다는 뜻입니다.
 
➃ 빈도율이 30인 사업장에서 한 사람의 작업자가 평생 작업시
몇 건의 재해를 당하겠는가의 환산빈도율
 
계산식 = 30 × 100,000 / 1,000,000 = 3
※3건(한 사람의 평생 근로 시간은 100,000시간을 기준으로 환산)
 
⓹ 근로자 1명당 근로 시간수
1일 8시간, 1일 25일, 1년 300일, 1년 2,400시간
 
⓺ 일평생 근로년수 = 40년 × 300일 × 8시간 = 96,000시간
 
⑦ 잔업시간 : 4,000시간
 
⑧ 일평생 근로시간 : 100,000시간
 
 

3. 강도율(S.R. : Severity Rate of Injury)

 
① 산업재해로 인한 1,000시간당 근로 손실일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(산업재해의 경중의 정도)
 
② 계산식
강도율= 연간근로손실일수 /연근로 총시간수 × 1,000
 
*신체 장해 환산일수(노동손실일수)



신체장해
등급
1.2.3
사망자및
4567891011121314
손실일수7,5005,5004,0003,0002,2001,5001,00060040020010050

 
 
➂ 병원에 입원 가료시는 입원일수 × 300/365 으로 계산할 것
 
➃ 근로손실일수 = 휴업일수(요양일수) × 300/365
 
⓹ 사망에 의한 근로손실일수 7,500일이란?
*사망자의 평균 연령 : 30세
*근로 가능 연령 : 55세
*근로손실일수=근로 가능 연령-사망자의 평균연령-25년
*연간 근로일수 : 약300일
*사망으로 인한 근로손실일수=연간근로일수×근로손실연수
  =300×25=7,500일
 
 

4. 종합재해지수(F.S.I : Frequuency Severity Indicator)

 
① 재해의 발생빈도와 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를 종합하여 나타내는 지수입니다.
 
② 도수율과 강도율을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산술평균입니다.
 
* 도수율(Frequency Rate): 재해 발생 건수를 나타내며,
연 근로시간 합계 100만 시간당 재해 발생 건수로 계산됩니다.
 
* 강도율(Severity Rate): 재해로 인한 근로 손실 일수를 나타내며,
연 근로시간 1,000시간당 근로 손실 일수로 계산됩니다.
 
➂ 계산식
 종합재해지수 = √빈도율(FR)×강도율(SR)
 

5. 안전활동률

 
① 100만 시간당 안전활동건수를 말합니다.
 
② 계산식
 
 안전활동률=안전활동건수 / (평균근로자수×근로시간수) × 1,000,000
 
 

6. Safe T Score

 
① 세이프 티 스코어 : 과거와 현재의 안전 성적을 비교 평가하는 방법입니다.
 
② 세이프 티 스코어 계산식
 (현재 도수율 - 과거 도수율) / √ [(과거 도수율 / 총 근로시간) x 1,000,000]
 
➂ 판정 기준
 *  +2.00 이상 : 과거보다 심각하게 안전도가 나빠졌다.
 *  +2.00 ~ -2.00인 경우 : 과거보다 심각한 차이가 없다.
 *  -2.00 이하 : 과거보다 좋아졌다.
 

7. 환산강도율 및 환산도수율

 
➀ 근로자가 평생 근무할 때 발생하는 근로 손실 일수를 나타냅니다.
 환산강도율 = 강도율×100
 
② 근로자가 평생 근무할 때 발생하는 재해 건수를 나타냅니다.
 환산도수율 = 도수율 ÷ 10 = 도수율 × 0.1
 
 
산업재해 통계와 분석은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하고,
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정확한 통계와 철저한 분석을 통해 재해를 예방하고,
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,
이를 통해 산업재해를 줄이고,
안전한 근로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.